맨위로가기

헨리 8세 (희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 8세는 잉글랜드 국왕 헨리 8세를 소재로 한 셰익스피어와 존 플레처의 합작 희곡이다. 헨리 8세의 결혼, 토머스 울지 추기경의 몰락, 종교 개혁 등 헨리 8세 시대의 주요 사건들을 다룬다. 버킹엄 공작의 처형, 캐서린 왕비의 이혼 재판, 앤 불린의 대관식과 엘리자베스 1세의 탄생 등이 주요 줄거리이다. 이 작품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지만, 극적 효과를 위해 일부 각색되었으며, 권력, 종교, 사랑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1613년 글로브 극장에서 초연되었으며, 셰익스피어와 플레처의 협업 여부와 제작 시기에 대한 논쟁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 헨리 4세 1부
    《헨리 4세 1부》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헨리 4세의 통치 초기를 배경으로 왕위 찬탈에 대한 죄책감, 왕자의 성장, 반군과의 갈등, 그리고 팔스타프를 통해 명예와 권력, 인간적 성장에 대한 주제를 탐구하는 역사극이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 퍼스트 폴리오
    퍼스트 폴리오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36편을 그의 동료 배우 존 헤밍스와 헨리 콘델이 편집하여 1623년에 출판한 초판본으로, 희극, 사극, 비극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셰익스피어 작품의 가장 권위 있는 자료이자 세계에서 가장 귀중한 인쇄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사극 - 리처드 3세 (희곡)
    《리처드 3세》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장미 전쟁 후 요크 가문의 리처드 3세가 권력욕에 눈이 멀어 악행을 저지르며 왕위에 오르는 과정과 그로 인한 비극적인 사건들을 다루는 역사극이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사극 - 헨리 5세 (희곡)
    《헨리 5세》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쓴 희곡으로, 헨리 5세의 프랑스 침공, 아쟁쿠르 전투, 프랑스 공주와의 결혼을 통해 잉글랜드와 프랑스 간의 화해를 다루며, 헨리 5세의 리더십과 전쟁의 양면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역사를 소재로 한 작품 - 사료
    사료는 역사 연구의 기반 자료로서 1차, 2차, 3차 사료로 나뉘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사료비판을 통해 신뢰성을 검증하며, 객관적 분석과 해석을 통해 연구되고 보존 및 관리가 필요하다.
  • 역사를 소재로 한 작품 - 로마 (드라마)
    HBO와 BBC가 공동 제작한 드라마 《로마》는 기원전 1세기 로마 공화정 말기를 배경으로 루키우스 보레누스와 티투스 풀로, 그리고 실존 인물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치적·군사적 갈등, 권력 투쟁, 사회상을 묘사하며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혼합한 서사를 특징으로 한다.
헨리 8세 (희곡)

2. 등장인물


  • 헨리 8세 - 잉글랜드 국왕
  • 토머스 울지 - 요크 대주교재상. 헨리 8세의 총신이었으나 권력을 남용하다 몰락한다.
  • 아라곤의 캐서린 - 헨리 8세의 첫 번째 부인. 스페인 출신으로 이혼에 반대한다.
  • 앤 불린 - 캐서린의 시녀였다가 헨리 8세의 두 번째 부인이 된다.
  • 버킹엄 공작 - 울지를 증오하여 반역죄로 몰린다.
  • 토머스 크랜머 - 캔터베리 대주교
  • 스티븐 가디너 - 울지의 측근이자 국왕의 비서. 이후 윈체스터 주교가 된다.
  • 상궁
  • 노퍽 공작 - 앤 불린의 할아버지.
  • 서퍽 공작 - 헨리 8세의 처남.
  • 서리 백작 - 버킹엄의 사위이자 노퍽의 아들.
  • 캄페지우스 추기경 - 헨리 8세와 캐서린의 결혼 문제를 다루기 위해 파견된 교황 사절.
  • 샤푸이스 경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대사.
  • 토머스 크롬웰 - 울지의 비서이자 후원자.
  • 샌즈 경
  • 애버가베니 경
  • 토머스 모어 - 울지의 뒤를 이은 재상.
  • 링컨 주교
  • 토머스 러벨 경 - 재무장관
  • 헨리 길포드 경 - 말 관리관
  • 니콜라스 보 경 - 귄의 총독
  • 앤서니 데니 경 - 변기 경호원
  • 버츠 박사 - 헨리 8세의 주치의
  • 그리피스 - 캐서린의 집사
  • 가터 문장관
  • 버킹엄의 측량관
  • 브랜던 - 장교
  • 군기병
  • 문지기
  • 노부인 - 불린의 수행원
  • 페이션스 - 캐서린의 시녀
  • 회의실의 문지기
  • 울지의 비서들
  • 캐서린의 재판에 참석한 서기들
  • 고지기
  • 가디너의 시종
  • 세 명의 신사
  • 상궁의 하인
  • 문지기의 남자
  • 전령


;교황 사절 법정에서

  • 캔터베리 대주교 - 토머스 크랜머의 전임자
  • 엘리 주교
  • 로체스터 주교
  • 성 아사프 주교


;불린의 대관식에서

  • 도셋 후작
  • 런던 주교
  • 런던 시장
  • 엘리자베스 공주
  • 도셋 후작부인 - 엘리자베스의 대모
  • 노퍽 공작부인 - 엘리자베스의 대모

Spirits영어

2. 1. 주요 등장인물 (한국 관련)

이 희곡에는 한국과 관련된 주요 등장인물이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의 역사적 인물 중 헨리 8세의 등장인물과 유사한 인물을 찾아볼 수 있다.

희곡 속 인물한국 역사 인물유사점 및 평가
앤 불린이희호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적극적인 여성 정치 참여와 사회 운동을 펼친 인물로, 앤 불린과 유사하게 평가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 관점)
앤 불린박근혜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 탄핵으로 인해 권좌에서 물러난 점이 헨리 8세에게 버림받은 앤 불린과 유사하다. (비판적 관점)


3. 줄거리

이 희곡은 서두(어떤 인물인지 밝혀지지 않음)의 독백으로 시작되는데, 관객들이 진지한 연극을 보게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관객들에게 "마을에서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행복하게 듣는 사람들"에게 "우리가 당신을 슬프게 만들듯이 슬퍼하십시오."라고 호소한다.[34]

제1막은 노포크 공작, 버킹엄 공작, 애버게니 경 사이의 대화로 시작된다. 그들의 대화는 추기경 울지의 무자비한 권력과 지나친 자만에 대한 상호간의 분노를 드러낸다. 울지는 수행원들과 함께 무대를 지나가며 버킹엄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낸다. 이후 버킹엄은 반역 혐의로 체포되는데, 이는 울지의 소행이다.

캐서린과 그 위에 맴도는 여러 인물의 이미지
윌리엄 블레이크의 '여왕 캐서린의 꿈', c. 1825. NGA 11638, 미국 국립 미술관, 워싱턴 D.C.


희곡의 두 번째 장면에서는 헨리 8세 국왕이 등장하며, 그의 총애를 받는 울지에게 의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캐서린 왕비가 등장하여 울지가 자신의 목적을 위해 세금 제도를 악용한 것에 대해 항의한다. 울지는 자신을 변호하지만, 국왕이 추기경의 조치를 철회하자, 울지는 자신이 국왕의 행동에 책임이 있다는 소문을 퍼뜨린다. 캐서린은 또한 버킹엄의 체포에 이의를 제기하지만, 울지는 공작의 측량사, 즉 주요 고발자를 제시하여 체포를 옹호한다. 측량사의 진술을 들은 후, 국왕은 버킹엄의 재판을 명령한다.

울지가 주최한 연회에서 국왕과 수행원들은 가면극 복장을 하고 입장한다. 국왕은 앤 불린과 춤을 춘다.

익명의 두 신사가 제2막을 시작하는데, 한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버킹엄의 반역 재판에 대한 설명을 해준다. 버킹엄은 유죄 판결을 받은 후 호송되어 등장하며, 추종자들과 대중에게 작별 인사를 한다. 그가 퇴장한 후, 두 신사는 궁정의 소문, 특히 울지의 캐서린에 대한 적대감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음 장면에서는 울지가 여왕에게 불리하게 움직이기 시작하는 모습이 보이며, 노포크와 서퍽 귀족들은 비판적으로 지켜본다. 울지는 헨리 국왕에게 추기경 캄페유스와 가디너를 소개한다. 캄페유스는 울지가 캐서린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재판의 판사 역할을 하기 위해 왔다.

앤 불린은 시녀인 노부인과 대화를 나눈다. 앤은 여왕의 고통에 대해 동정을 표하지만, 그 후 챔벌린 경이 등장하여 국왕이 그녀를 펨브로크 후작부인으로 임명했다고 알린다. 챔벌린 경이 떠나자, 노부인은 앤이 국왕의 총애를 갑자기 받게 된 것에 대해 농담을 한다.

라파엘 홀린셰드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연대기' 초판, 1577년 출판.


호화롭게 연출된 재판 장면(제2막 4장)은 국왕과 그의 측근 앞에서 캐서린이 심문을 받는 모습을 그린다. 캐서린은 그녀에 대한 울지의 책략을 비난하고, 재판에 참석하는 것을 거부한다. 그러나 국왕은 울지를 옹호하며, 자신의 결혼의 정당성에 대한 의심이 재판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말한다. 캄페유스는 여왕이 부재한 상태에서 심리를 계속할 수 없다고 항의하고, 국왕은 마지못해 심리를 중단한다. 제3막에서 울지와 캄페유스는 시녀들 사이에서 캐서린과 대면한다. 캐서린은 자신의 처우에 대해 감정적으로 항의한다.

제3막 2장에서 노포크, 서퍽, 서리, 챔벌린 경은 울지에 맞서 음모를 꾸미는 모습이 그려진다. 울지가 교황에게 보낸 편지 뭉치가 국왕에게 전달되었는데, 편지에는 울지가 헨리의 캐서린과의 이혼 계획을 교황에게 반대하는 척하면서 국왕에게는 이를 지지하는 이중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왕은 울지에게 불쾌감을 드러내고, 울지는 처음으로 헨리의 총애를 잃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귀족들은 울지를 조롱하고, 추기경은 그의 추종자 크롬웰이 울지가 실각하는 과정에 휘말리지 않도록 내보낸다.

두 신사가 제4막에서 다시 등장하여 앤 불린의 여왕 즉위식 행렬을 관찰하고 논평하는데, 그녀는 그들 앞에서 무대를 지나간다. 그 후 세 번째 신사가 합류하여 궁정 소식, 즉 토마스 크롬웰이 왕실의 총애를 얻게 된 것과 캔터베리 대주교 크랜머에 대한 음모에 대해 알려준다. 2장에서 캐서린은 병들어 있는 모습이 묘사된다. 그녀는 울지의 죽음을 전해 듣고, 춤추는 영혼들에 대한 환영을 본다. 카푸티우스가 그녀를 방문한다. 캐서린은 이혼에도 불구하고 국왕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을 표하며 새로운 여왕의 행복을 기원한다.

제5막은 이 희곡의 절정이다. 국왕은 초조해하는 크랜머를 불러 그의 앞에서 우정을 표현하며 "그대의 진실성과 그대의 청렴함은 우리 안에 뿌리내리고 있네, 그대의 친구여."라고 말한다. 국왕은 반지를 선물하여 이러한 우정을 확인한다. 나중에, 치밀하게 꾸며진 음모의 결과로, 크랜머는 국왕의 의회에서 이단 혐의로 기소되고 탑으로 압송되어 죄수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크랜머는 격렬하게 자신을 변호한 후 국왕의 반지를 보여준다. 국왕이 등장하여 크랜머를 의회 내에서 몇 안 되는 "선한 사람"이라고 선언한다. 음모는 실패했다.

앤 불린 여왕은 딸, 즉 미래의 엘리자베스 여왕을 낳는다. 국왕은 크랜머에게 아이에게 세례를 주고 대부가 되어 달라고 요청하는데, "거절할 수 없는 요청이네."라고 한다. 챔벌린, 문지기, 그의 사람은 아기 엘리자베스의 세례식에 참석한 열광적인 군중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크랜머는 새로 태어난 공주의 미래 통치에 대한 찬사를 전달하는데, "이 땅에, 천만 가지 축복이 있으리라"라고 한다. 국왕은 "오 주 대주교여, 당신은 나를 이제 한 사람으로 만들었소."라고 응답하고 그 날을 공휴일로 선포한다.

에필로그는 이 희곡이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인정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객의 승인을 요청한다.

4. 역사적 배경

헨리 8세 시대의 잉글랜드는 종교 개혁 시기로, 헨리 8세는 교황청과 결별하고 영국 국교회를 수립했다. 헨리 8세는 6명의 왕비와 결혼했으며, 이 중 앤 불린캐서린 하워드는 처형당했다. 헨리 8세의 통치 기간 동안 잉글랜드는 정치, 종교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36]

셰익스피어가 《헨리 8세》를 집필할 때 참고한 주요 자료는 라파엘 홀린셰드의 《연대기(Chronicles)》, 존 폭스(John Foxe)의 《순교자 열전(Foxe's Book of Martyrs)》, 존 스토우(John Stow)의 《잉글랜드 연대기 요약(Summary of English Chronicles)》, 존 스피드(John Speed)의 《대영제국사(History of Great Britain)》 등이다. 1613년 헨리 8세를 다룬 새뮤얼 로울리(Samuel Rowley)의 희곡 《보면 알 수 있다(When You See Me You Know Me)》 제2사절판 출판이 셰익스피어에게 영감을 주었을 가능성도 있다.[34]

셰익스피어는 극적인 효과와 감정 전달을 위해 《헨리 8세》에서 실제 역사와 다르게 20년에 걸친 사건을 압축하고 순서를 바꾸었다.[36] 버킹엄 공의 반역죄 재판이 억울했음을 암시하지만 명확히 언급하지 않았고, 앤 불린의 불명예와 참수, 헨리 8세의 이후 4명의 아내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 등 미묘한 문제에 대해 모호한 태도를 취했다.

5. 작품의 특징

이 희곡은 셰익스피어의 작품으로 출판되었고, 1850년까지 학자들도 그렇게 받아들였다. 그러나 프랜시스 베이컨 전문가인 제임스 스페딩이 존 플레처와의 공동 집필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기했다.[17] 플레처는 셰익스피어를 대신하여 킹스 맨의 주요 극작가가 된 인물이다. 그는 셰익스피어와 다른 희곡에서도 공동 작업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희곡에 대한 당시의 증거는 없다. 플레처의 전형적인 스타일에 더 가까운 몇몇 장면에 나타나는 운율 스타일이 공동 집필 증거로 제시된다. 플레처의 참여가 공동 집필인지, 수정인지도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작가 간의 장면 분할이 분명하게 전자를 시사한다.

스페딩과 다른 초기 논평가들은 셰익스피어 희곡에서 플레처의 스타일과 언어 선호도에 나타나는 일련의 독특한 특징에 의존했다. 다음 세기 동안 이중 저작권 문제는 논쟁의 여지가 있었으며, 공동 집필 가설에 찬성하는 증거가 더 많이 축적되었다. 1966년, 어드먼과 포겔은 "오늘날 다수의 학자들이 플레처의 부분적인 저작권 이론을 받아들이지만, 굳건한 소수가 이를 부인한다"라고 썼다.[18]

스타일론 또는 문체 계량의 영향력 있는 연구는 사이러스 호이에 의해 수행되었는데, 그는 1962년에 플레처가 'you' 대신 'ye'를, 'them' 대신 'em'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독특한 단어 선택을 기반으로 셰익스피어와 플레처 간에 희곡을 나누었다.[19] 19세기 중반, 제임스 스페딩은 11음절 행의 사용을 기반으로 유사한 구분을 제안했으며, 그는 호이가 한 세기 후에 도달하게 될 동일한 결론에 도달했다.[20] 스페딩-호이의 구분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세부 사항 중 일부에 의문을 제기했다.[21]

두 시인이 희곡에서 차지하는 가장 일반적인 구분은 다음과 같다.


  • 셰익스피어: 1막 1장과 2장; 2막 3장과 4장; 3막 2장, 1-203행(왕의 퇴장까지); 5막 1장.
  • 플레처: 서문; 1막 3장과 4장; 2막 1장과 2장; 3막 1장 및 2장, 203-458행(왕의 퇴장 후); 4막 1장과 2장; 5막 2-5장; 에필로그.[22]


새뮤얼 존슨, 루이스 시오볼드(Lewis Theobald), 조지 스티븐스(George Steevens), 에드먼드 말론, 제임스 할리웰 필립스와 같은 18세기19세기의 지도적인 연구자들은 이 희곡의 전 튜더 왕조적 성격 때문에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어머니(메리 1세)가 참수된 제임스 1세 통치기(1603년 - 1625년)에서는 상연될 수 없었을 것이라는 이유로 이 희곡의 창작 연대를 1603년 이전으로 추정했다.[37] 하지만, 스튜어트 왕조 시대에도 헨리 8세를 호의적으로 묘사한 『보면 알 수 있다』, 엘리자베스 1세를 호의적으로 묘사한 『If You Know Not Me, You Know Nobody』가 상연, 출판, 재판되었다는 사실이 있다.[38]

『헨리 8세』는 셰익스피어와, 셰익스피어의 뒤를 이어 국왕 극단의 메인 전속 작가가 된 존 플레처와의 합작이라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를 증명하는 당시의 기록은 없다. 합작설의 근거로, 몇몇 장면에서 사용되는 운문의 스타일이 셰익스피어 작품보다 플레처 작품에서 더 자주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령 플레처가 관여했다 하더라도, 합작인지 아니면 단순히 개정만 한 것인지 알 수 없다.

플레처와의 합작설을 처음으로 지적한 사람은 프랜시스 베이컨 전문가인 제임스 스페딩(James Spedding)으로, 1850년의 일이었다.[44] 스페딩 등은 셰익스피어 작품 속에서 플레처의 스타일과 어휘 선택을 보고 그렇게 주장했다. 20세기에 들어와 합작설에 대한 논쟁이 이어졌지만, 추가적인 증거로 인해 합작설 쪽으로 기울었다. 1966년, 아드먼과 포겔은 "현재, 부정하는 연구가는 소수이며, 대다수의 연구가가 플레처 합작설을 인정하고 있다"라고 썼다.[45]

6. 현대의 공연

이 작품은 20세기 중반 이후 인기가 시들해졌지만, 1933년 찰스 로턴이 새들러스 웰스 극장에서 헨리 역을 맡았고, 1959년 로열 셰익스피어 극장에서 존 길구드가 울지 역을, 해리 앤드루스가 국왕 역을 연기했다.[31]

2010년 5월 15일부터 8월 21일까지 재건된 셰익스피어 글로브 극장에서 이 작품의 첫 번째 공연이 열렸으며, 도미닉 로완이 헨리 역을, 미란다 레이슨이 앤 역을, 이언 맥니시가 울지 역을, 케이트 듀센이 캐서린 역을 맡았다.[31] 2010년 10월 12일부터 11월 28일까지 폴저 셰익스피어 극장(워싱턴 D.C.)에서 상연되었고,[31] 2012년 앨라배마 셰익스피어 페스티벌에서도 재상연되었다.

2019년에는 캐나다 스트랫퍼드 페스티벌의 스튜디오 극장에서 이 작품이 레퍼토리로 상연되었다. 이 프로덕션은 시네플렉스에서 극장 상영을 위해 촬영되었으며,[32] 캐나다 CBC에서도 방송되었다.[33]

참조

[1] 논문 The Shares of Fletcher and his Collaborators in the Beaumont and Fletcher Canon 1962
[2] 웹사이트 Henry VIII: Entire Play http://shakespeare.m[...]
[3] 웹사이트 Reproduced at Internet Shakespeare Editions https://internetshak[...]
[4] 서적 King Henry VIII Arden 2000
[5] 서적 The Works of William Shakespeare Blackie and Son 1890
[6] 서적 King Henry VI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7] 서적 King Henry VIII Arden 2000
[8] 서적 1890
[9] 서적 London's Lord Mayors : 800 years of shaping the city Amberley 2015
[10] 서적 The Riverside Shakespeare Houghton Mifflin
[11] 서적 From Princes to Pages: The Literary Lives of Cardinal Wolsey, Tudor England’s 'Other King' https://books.google[...] 2016
[12] 서적 Henry VIII Thomson 2000
[13] 서적 Some Account of the Life &c. of Mr. William Shakespear 1709
[14] 서적 The Plays of William Shakspeare 1790
[15] 서적 The Works of William Shakespeare Collier
[16] 서적
[17] 논문 Who Wrote ''Henry VIII''? August 1850
[18] 서적 Evidence for Authorship: Essays on Problems of Attribu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66
[19] 논문 The Shares of Fletcher and his Collaborators in the Beaumont and Fletcher Canon 1962
[20] 서적 The Life of King Henry the Eighth Yale UP 1925
[21] 서적 The Authorship of Shakespeare's Plays CUP 1994
[22] 서적
[23] 서적 The RSC Shakespeare : the complete works Palgrave Macmillan 2007
[24] 서적 2007
[25] 서적 Roscius Anglicanus
[26] 서적
[27] 서적 A Shakespeare Companion 1564–1964 Penguin 1964
[28] 웹사이트 Gilbert & Sullivan Archive: Henry VIII https://www.gsarchiv[...] 2023-06-25
[29] 간행물 Theatre Programme: Theatre Royal Manchester, "Grand Revival of Shakspere's Henry the Eight" 1877-08-29
[30] 서적
[31] 뉴스 Why Shakespeare's Henry VIII remains a rarity http://news.bbc.co.u[...] BBC News 2016-08-20
[32] 뉴스 Cineplex Online Store https://store.cinepl[...] Cineplex 2021-05-02
[33] 뉴스 CBC Gem https://gem.cbc.ca/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1-05-02
[34] 서적 Narrative and Dramatic Sources of Shakespear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2
[35] 서적 The Elizabethan Stage Clarendon Press 1923
[36] 서적 The Riverside Shakespeare Houghton Mifflin 1974
[37] 서적 Shakespeare by Another Name 2004
[38] 서적 Chambers
[39] 서적 Henry VIII Thomson 2000
[40] 서적 A Shakespeare Companion 1564-1964 Penguin 1964
[41] 서적 Roscius Anglicanus
[42] 서적
[43] 서적
[44] 간행물 Who Wrote ''Henry VIII''? 1850-08
[45] 서적 Evidence for Authorship: Essays on Problems of Attribu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